![](http://i1.daumcdn.net/thumb/C148x148/?fname=https://blog.kakaocdn.net/dn/dahKwC/btr9C4eACaH/CS3yvuBVwLkCPDtfWKp4Ik/img.png)
Spring Framework에서 JPA 사용 시 @Transactional(readOnly = true) 애노테이션을 사용하면 트랜잭션을 읽기 전용 모드로 동작시킬 수 있고, 성능 향상을 볼 수 있다. JPA는 기본적으로 엔터티를 영속성 컨텍스트에 관리하게 되고, 영속성 컨텍스트는 변경 감지를 위해 스냅샷 인스턴스를 보관하여 메모리를 사용하게 된다. 엔터티를 조회만 하는 경우 변경 감지와 메모리 사용은 불필요하므로 @Transactional(readOnly = true) 애노테이션을 사용하면 트랜잭션이 읽기 전용 모드로 설정되어 변경 감지할 엔터티를 줄이고 메모리 사용을 줄일 수 있다. @Transactional(readOnly = true) 애노테이션을 사용하면 Spring Data JPA는 Hibe..
TIL/Spring
2023. 4. 12. 08:37
공지사항
최근에 올라온 글
최근에 달린 댓글
- Total
- Today
- Yesterday
링크
TAG
- Programming
- popupWindow
- Rolling-Restart
- HLS
- HDFS
- jdk6
- JAXB
- oid
- springframework
- JDK21
- ffmpeg
- onbeforeunload
- fluentd
- DATABASE
- libavformat
- CentOS
- programmer
- HTTP Live Streaming
- springjpa
- development
- jdk7
- DB
- AVIOContext
- elasticsearch
- Spring
- JPA
- springboot
- Virtual Thread
- Java
- C/C++
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||||||
2 | 3 | 4 | 5 | 6 | 7 | 8 |
9 | 10 | 11 | 12 | 13 | 14 | 15 |
16 | 17 | 18 | 19 | 20 | 21 | 22 |
23 | 24 | 25 | 26 | 27 | 28 |
글 보관함